인상주의 발생의 사회적 배경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소설 진주 귀고리 소녀는 전 세계 사람들이 너무도 사랑하는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둘러싼 화가 베르메르와 그를 도와 조수로 일하던 소녀의 스토리에 관한 것입니다. 슈발리에는 이 소설에서 그림 속 소녀를 베르메르의 조수로 설정했습니다. 그녀는 처음에는 가정부로 들어갔지만 베르메르의 작업실에서 그의 그림 작업을 돕는 일을 하게 됩니다. 거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서 봐야 할 부분은 바로 가루낸 광물의 가루를 기름에 섞어서 화가가 사용할 물감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시기는 17세기입니다. 이 시기의 화가들은 화실을 벗어나서 그림을 그리기 쉽지 않았습니다. 물감은 즉석에서 이런 방식으로 제조되어야 했고, 그림 도구들은 운반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1840년대에 드디어 튜브 물감이 발명됩니다. 화가들은 이제 물감을 제조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하고 싶은 색상이 있다면 그저 팔레트에 튜브를 짜서 조색하는 과정만 필요할 뿐입니다. 이제 그들은 야외로 나갈 수 있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물질문화는 급격하게 발전했습니다. 삶은 이전보다 편하고 풍요로워 졌고, 눈에 비친 도시의 발전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미래에 대한 낙관론을 갖게 했습니다. 화가들이 화폭에 담고 싶은 도시의 전경과 풍경들이 풍부해졌고 마침 튜브 물감과 종이 등 휴대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된 그림 도구들은 그들의 야외 작품 활동 환경을 수월하게 해 주었습니다. 먼 곳의 풍경을 담고 싶다면 이제는 발달된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기차여행을 하면 되었습니다. 카메라의 발명과 발전은 사물의 객관적인 모습을 담아내거나 순간의 느낌을 포착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카메라는 회화의 나아갈 길을 획기적으로 제시해 주었습니다.
사회적인 변화도 인상주의 탄생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인상주의가 태동한 19세기 후반은 이제 전혀 새로운 시대였습니다. 그동안 그림의 주요 주문자는 교회나 왕족, 귀족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중산층의 경제력이 향상되었으며, 그들은 자신들도 귀족처럼 문화를 향유하는 계층이 되고자 했습니다. 이제 더 이상 그림은 궁이나 교회를 장식하거나 왕이나 귀족들만을 미화하기 위한 수단이 아닙니다. 예술의 향유층이 늘어나자 전문적으로 그림 거래를 담당하는 직업 화상들의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그림의 주문이나 수집의 계층도 다변화되었습니다.
인상주의 발생의 미술사적 배경
자포니즘
인상주의가 태동한 19세기 말 파리에 자포니즘의 물결이 크게 일었습니다. 자포니즘은 말 그대로 일본풍을 말합니다. 동양의 일본 미술이 서구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은 일본의 채색목판화인 우끼요에의 유행입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많은 도공들이 일본으로 끌려갔습니다. 당시 조선과 명나라에서 도자기를 수입해서 사용하던 일본은 조선 도공들을 앞세워 도자기를 자체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박람회를 통해 유럽으로 진출하기 시작한 일본 도자기들은 우끼요에가 있는 종이로 포장되어 선적되었습니다.
서양의 회화나 전통적 동양화와 매우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던 우끼요에는 단번에 파리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우끼요에는 강렬한 원색을 사용한 단순한 채색, 조감 구도, 그림의 가장자리가 잘려나간 독특한 형식이었고 많은 화가들을 매료시켰습니다.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온 회화의 전통은 이제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습니다.
혁신적 화가들
인상주의는 어떤 특정한 날에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닙니다. 이미 이런 흐름을 예고한 화가들이 있었습니다. 들라크루아 방식의 밝은 색채, 자연을 실제적으로 관찰하고 그린 낭만주의 풍경화가들, 평범한 실제의 사람들을 화폭에 담은 사실주의 화가들은 인상주의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전 글 참조>
2021.07.27 - 낭만주의 – 신고전주의에 대한 반발
마네는 인상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화가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과감한 구도와 명암의 강렬한 대조를 보이는 색채를 사용하여 매우 현대적인 작품을 그렸습니다. 그의 그림은 주제의식보다 장면을 실제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계속 지속되는 장면이 아닌 일시적인 순간을 그려내는 것에 힘썼습니다. 이후에 등장하는 많은 인상주의 화가들은 마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드가, 모네, 카사트 등의 인상주의 화가들은 이 흐름을 지속시켰습니다.
1874년 인상주의 첫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전시회 제목은 <화가 조각가 및 판화가 무명협회 제1회전>이었습니다. 한 기자가 일간 신문에 게재한 조롱 섞인 '인상주의'라는 용어는 이 미술사조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관련 화가들은 이제 인상주의 그림을 활발히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