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전주의란?
신고전주의는 1780-1820년 시기에 유행했던 미술사조로서 조각, 건축, 회화, 실내 장식 등에서 엄격한 고전 양식을 부활시켰습니다. 이 시기는 폼페이 등 고대 건축물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의 성과들이 그리스 미술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켰고, 빙켈만의 이론은 고전에 대한 관심을 유도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1789년의 프랑스혁명 이후 왕정 시대를 끝내고 로마의 공화정 체제로 돌아가고자 하는 정치·사상적 흐름이 있었습니다.
유럽의 미술은 그리스·로마의 고전을 그 전통의 뿌리로 두며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까지 이어졌지만 신고전주의는 그러한 전통은 공유하면서도 로코코의 과도하게 화려하고 장식적인 것에 대한 반발로 나온 것이었습니다. 신고전주의는 고전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한 것이 아니라 고전의 형식을 추종하여 모방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또한 고전에 대한 경외심을 국가의 통치에 이바지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는 미술이었습니다. 더욱 강력하게 고전 그 자체로의 회귀를 지향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고전주의 회화의 양식과 주제
신고전주의 회화는 엄격한 구도, 확실한 윤곽선, 입체적인 형태의 완성, 표현의 확실함, 내용의 균형성을 강조했습니다. 즉, 창의적이거나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거나 강렬한 빛과 어둠의 대조 등으로 만든 극적인 연출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이 당시 고대 유물의 고고학적 발굴 성과가 많아서 발굴된 조각상과 건축물 등의 영향을 받은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작품의 구도 또한 대기 원근법처럼 모호한 형태나 선이 아닌 명확한 윤곽을 중요시했고 인물들은 조각의 배열처럼 나란히 배치되었습니다. 배경은 단순화되었으며 깊은 공간감을 배제하여 평면적이며 주요 모티브가 강조되었습니다. 이러한 평면성으로 인해 신고전주의의 대표 작가인 자크 루이 다비드를 현대미술의 시작으로 보는 학계의 의견도 존재합니다.
이처럼 선과 표현에서 볼 수 있는 간결함은 바로크나 로코코의 사적이고 관능적이고 격정적인 주제와도 매우 다른 것이었습니다. 신고전주의 회화의 주제는 도덕적인 것, 로마 공화정의 금욕주의적인 것, 프랑스 혁명정신과 부합하는 것 등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신고전주의 회화의 주요 작가와 작품
신고전주의의 대표적인 미술가는 프랑스의 자크-루이 다비드이며 그의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Oath of the Horatii, 1784-85년>는 신고전주의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며, 신고전주의 양식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로마식의 인물들, 로마 공화국을 위해 맹세하는 교훈적인 주제, 평면적인 배경과 인물들에 집중되는 구도, 명확한 윤곽선들은 위에서 언급한 신고전주의 양식과 주제와 일치합니다.
그는 혁명정부의 공식 화가였으며 그들이 주관하는 선전용 행사에서 무대, 의상 등 시각적인 부분을 담당했습니다. 당시의 혁명가 세력은 자신들을 영웅시대의 인물로 생각했고 그리스 로마 시대에 일어났던 일들처럼 화가에 의해 미화될 필요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다비드의 작품인 <마라의 죽음(Death of Marat), 1793년>은 프랑스혁명의 지도자인 마라가 피살된 현장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는 목욕탕 욕조 안에서 집무를 보곤 했습니다. 그의 피부병이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욕조 안에서 그는 마치 순교자처럼 평화롭게 눈을 감고 있습니다. 현실은 반대파 여성에 의해 살해된 것이지만, 그는 매우 순결한 피부와 평온한 표정의 마라와 이 사건 현장을 미화하고 있습니다.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1780-1867)는 신고전주의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한 다비드 이후의 인물입니다. 18년동안 이탈리아에 머물면서 라파엘의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한편으로는 다비드보다 더욱 신고전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이후에는 많은 고전주의적 초상화와 인물화를 남겼습니다. 필자는 한국에서 열린 유럽회화전에서 앵그르의 작품을 본 적이 있습니다. 도자기 같은 피부를 가진 작품 속 인물들은 정말 아름다웠고, 나중에 나오는 인상주의 인물화와 확실히 다른 선이 강조된 인물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신고전주의 이후
하지만 형식에 얽매인 신고전주의에 반대하는 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들은 개인의 감정, 자아,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주관적이고 감각적인 미술을 추구했습니다. 이것은 낭만주의의 탄생을 알렸습니다.
댓글